논문투고규정
제 1조(목적)
이 규정은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편집위원회 구성 및 운영에 관한 규정된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Korean Society For Leisure Sciences" (이하 ”학회지“이라 칭함)의 논문투고에 관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투고논문의 종류)
논문의 종류는 원저(Regular Paper), 단신(Note), 총설(Review)을 포함 한다.

원저(Regular paper): 독창적인 연구로서 그 자체가 독립적으로 가치 있는 결론 또는 사실을 포함한 것이다.

단신(Note): 어떤 한정된 부분의 발견이나 새로운 실험방법 등과 같이 원저논문으로 정리할 수 없지만 발표할 가치가 있는 것이다.

총설(Review): 체육학에 관련되는 제 분야의 총설을 게재한다. 철저한 문헌조사를 통한 어떤 특정분야의 최신 연구동향이나 현재까지의 지식에 대한 비판적인 것을 우선적으로 채택한다.

제3조(중복투고 배제)
투고 논문은 타 학회지에 발표되지 않은 것이어야 하고, 본 학회지에 게재된 것은 임의로 타 학회지에 투고 할 수 없다.
제4조(언어)
투고 논문은 국문을 원칙으로 한다. 외국어로 작성할 경우 영어만 가능하다.
제5조(논문 작성)
투고 논문은 아래 한글(HWP)로 작성한다.

1. 글자 크기는 10 point, 휴먼명조체로 작성한다.

2. 국문 초록과 영문 초록은 10줄 이하 이어야 한다.

제6조(투고방법)
논문투고는 본 학술지의 논문투고 시스템(http://www.kjpe.org)에 접속하여 절차에 따라 투고한다. 투고할 때에는 논문과 함께 '저작권이전동의서', ‘연구윤리확약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제7조(연구윤리 강화)
투고 시에는 한국 연구재단의 ‘KCI 문헌 유사도 검사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표절률을 검사하고, 그 결과를 제출한다.
제8조(저자표시)
투고 논문에는 저자를 알 수 있는 어떠한 정보도 포함하지 않는다. 저자명, 소속기관, 교신저자 등의 저자에 관한 정보는 논문투고 시스템에 직접 입력한다.
제9조(논문체제)
논문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배열한다. 단, 문헌연구 형식의 논문일 경우 서론과 결론 및 제언 부분의 형식은 갖추고, 나머지 부분의 체제는 논문주제와 방법의 특성에 적절하게 선택 할 수 있다.

1. 제목

2. 국문 초록

3. 영문 초록

4. Key Words

5. 서론

6. 연구방법

7. 연구결과

8. 논의

9. 결론

10. 참고문헌

단, 문헌연구 형식의 논문일 경우 서론과 결론 및 제언 부분의 형식은 갖추고 나머지 부분의 체제는 논문주제와 방법의 특성에 적절하게 선택 할 수 있다.

제10조(참고문헌 인용)
참고문헌 작성과 인용은 미국심리학회 출판요강(Publication Manual of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7th ed.  2019)의 매뉴얼(manual)을 따라야 한다.

1. 본문에서 문헌을 인용할 때 저자명은 국내를 포함한 중국, 일본, 대만 저자의 경우 성(last name)과 이름을 모두 기재하고, 서양 인명은 성(family name)만 기재한다.

2. 인용을 할 때 본문에는 저자, 연도를 표기하고 참고문헌에 완전한 출처를 제시한다.

3. 필요에 따라 각주(footnote)와 미주(Note 또는 Endnote)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각주(footnote)는 본문중에 게재하고, 미주는 참고문헌 뒤에 게재한다.

4. 저자가 1인인 경우 인용은 저자의 성(family name)과 연도를 기재한다.

[예시]

- 홍길동 (2019)은 / Muller (2000)는  

- (홍길동, 2019) / (Muller, 2000)

5. 저자가 2인인 경우는 성(family name) and 성(family name)으로 기재한다.

홍길동, 김길수 (2019)의 연구결과 / Gide and Rist (1994)의 연구결과

- (홍길동, 김길수, 2019) / (Gide & Rist, 1994)

6. 저자가 3인 이상인 경우에는 처음 저자의 성(family name)과 et al.

또는 처음 저자의 이름과 외 뒤에 연도를 표기한다. 내주의 경우에도 3인 이상의 공저자는 성과 et al. 또는 처음 저자의 이름과 외로 기재한다.

[예시]

- 오동근 외 (2020) ---> 3인 이상의 공저서의 경우 처음 저자의 이름과 ‘외’로 기재 

- (오동근 외, 2020) ---> 3인 이상 공저서의 인용(내주) 

- Wolchik et al. (2000)은 ---> 3인 이상의 공저서의 경우 처음 저자의 성과 et al.로 기재 

- (Wolchik et al., 2000) ---> 3인 이상 공저서의 인용(내주)

7. 같은 연도, 같은 성을 가진 다른 2명 이상의 저자 논문을 참고한 경우에는 성과 이름의 첫 글자(initial)를 쓴다.
[예시] - 사회적 스트레스( Volicer, K. A. 2016 ; Volicer, M. Y. 2016)
8. 같은 저자의 복합인용은 연대순으로 하여 “,”로 띄어쓰고, 저자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예시] - (Price, 2004, 2015)
9. 같은 해에 동일 저자에 의한 두 편 이상의 논문은 연도를 기입 후 a,b,c 등으로 첨부하고 저자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예시] - (Price, 2016a, 2016b)
10. 본문 내용에서 다른 저자가 같은 내용에서 동시에 인용될때는 알파벳순으로 괄호내용에 (;)를 이용 하여 배열한다.
[예시] - 에 대한 연구들(Brown &Smith, 1975; Lee, 1954; Williams, 1998)
제11조(참고문헌 작성)
참고문헌 작성과 인용은 미국심리학회 출판요강(Publication Manual of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7th ed.  2019)의 매뉴얼(manual)을 따라야 한다.
1. 학술지(Journal Article)

저자(출판연도): -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은 전부 쓰고 나머지 이름은 (first name, middle name)은 머리글자만으로 표기.

성(family name) 다음은 쉼표(,)로 표시하고, 저자가 2인이나 그 이상인 경우에는 마지막 저자 앞에 & 를 사용. - 출판연도는 저자 다음에 붙여서 괄호 안에 표기.

논문제목: - 제목과 하위제목 (“:” 다음에 이어지는 제목) 첫머리 글자에서만 대문자로 표기하고 나머지는 모두 소문자로 표기.

학술지명: - 학술지명은 이탤릭체로 표기. - 축약형(Abbreviation)이 아닌 원제 명칭으로 기재하고, 명사, 대명사는 첫머리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

권 번호와 페이지: - 각각 숫자로만 표시하되 권 번호(Volume)는 이탤릭체으로 표기. - 호(Number)는 진하게 또는 이탤릭으로 표기하지 않고 정체로 표기

[Digital Object Identifier (DOI) 가 있는 경우]

Kwak, N. H., &Yun, D. J. (2017). An oral history study of Korean baseball through Kim Eung-Ryong’s life.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6(3), -27. doi: 10.23949/kjpe.2017.05.56.3.2

[Digital Object Identifier (DOI) 가 없는 경우]

Kwon, M. J., &You, J. A. (2014). Inquiry on career searching types of high school student-athletes in unpopular sport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28(1), 101-116.

[저자가 1인 경우]

이순신. (2003). 학생체력검사의 평가방법 개선방안. 한국체육학회지, 32(2) 512-530. McPherson, B. D. (1994). Sport participation across the life cycl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Sport Sociology, 1, 34-32.

[저자가 2인 경우]

이지열, 이민석. (2020). 액티브시니어의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분석.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11(1), 1-10.

Alice, R., & Wilson, A. (1993). The ADA and the hiring process in organizations. Consulting Psychology Journal: Practice and Research, 45(2), 10-36.

[저자가 20인 초과인 경우]

이종욱, 박중규, 양기덕, 오동근, 홍길동, 김철수, 이나연, 고소연, 정유지, 유현진, 최지영, 김지연, 조나연, 이숙희, 김지수, 강윤후, 황일연, 이순자, 최강자, ... 김말자. (2021). 문헌정보학 및 사회과학 분야 연구자의 학술지 선정요인에 대한 측정 동일성 검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52(2), 235-252.

https://doi.org/10.16981/KLISS.52.2.202106.235


Pegion, K., Kirtman, B. P., Becker, E., Collins, D. C., LaJoie, E., Burgman, R., Bell, R., DelSole, R., Min, D., Zhu, Y., Li, W., Sinsky, E., Guan, H., Gottschalck, J., Metzger, E. J., Barton, N. P.,  Achuthavarier,  D.,  Marshak,  J.,  Koster, R.,  ...  Kim,  H. (2019). The  subseasonal  experiment  (SubX):  A multimodel subseasonal prediction experiment.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100(10),  2043-2061. https://doi.org/10.1175/BAMS-D-18-0270.1

[심사완료 후 게재 예정 논문]

Alice, M., & Johnson, S. C. (in press). Race differences in faceism: Dose facial prominence imply domina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 단행본(Books)

저자, 편집자: 편집된 책일 경우 국문은 저자명 뒤에 (편)으로 표시하고 영문일 경우 (Ed.) 혹은 (Eds.) 라는 약어로 표시.

출판연도: 책이 발간된 연도 표시.

책 제목: 국문일 경우 진하게, 영문일 경우 이탤릭체로 표기하되 책 제목은 명사, 대명사만 대문자로 표기. 책이 재판 이상으로 간행된 경우 책 제목 다음에 판수를 기재.

출판 도시: 출판도시와 출판사 사이는 클론(:)으로 표시.

[단행본]

이순신. (2004). 여가와 현대사회. 서울: 동해출판사. Safrit, M. J. (1990). Introduction to measurement in physical education and exercise science(3rd. ed..). St. Louis, Missouri: Times Mirror.

[편저]

Gibbson, T. T., & Huang, L. N. (Eds.). (1998). Children of color: Psychological interventions with minority youth. San Francisco: Jossey-Bass.

[저자, 편저자가 명기 안 된 단행본]

Merrian-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10th ed.). (1993). Springfield, MA: Merrian-Webster.

[백과사전, 사전]

Sadie, S. (Ed.). (1980).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6th ed., vols. 1-20). London:m Macmillan.

[편ㆍ저서 내의 장(chapter) 또는 논문]

Bjork, R. A. (1989). Retrieval inhibition as an adaptive mechanism in human memory. In H. L. Roediger Ⅲ & F. I. M. Craik (Eds.), Varieties of memory & consciousness (pp. 309-330). Hillsdale, NJ: Erlbaum.

3. 석·박사 학위논문(Doctoral Dissertation and Master's Thesis)
출판 도시: 출판도시와 출판사 사이는 클론(:) 으로 표시
[학위논문(online)]

홍길남. (1994). 준거지향 검사의 기준설정방법 비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학위논문 초록집] Bower, D. L. (1993). Employee assistant programs supervisory referrals: Characteristics of referring and nonreferring supervisor.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54 (01), 534B. (UMI No. 9315947)

4. 신문기사 (Newspaper)
[신문기사(paper)]

이순신. (2003, 3월 31일). 운동선수의 상해 실태. 동해일보, pp. A15, A16. New drug appears to sharply cut risk of death from heart failure (2001, July 13). The Washington Post, p. A12.

[신문기사(online)]

Yoon, T. S. (2016, November 3). 10,000 retirees a year. 99% treated as underdog: <5> Where are retired player jobs. Hankook Ilbo. Retrieved from http://www.hankookilbo.com/v/f9b568fa96d84b4cb6404bc6ef54f444

[초록집]

Alice, N. Y., Young, S. L., Johnson, M. S., & Butche, L. L. (1991). MAP-2 expression in cholinoceptive pyramidal cells of rodent cortex and hippocampus is altered by Pavlovian conditioning [Abstract]. Society for Neuroscience Abstracts, 17, 480.

[논문집의 특별 부록-supplement]

Volkel, A., A., Narrow, W. E., & Lee, D. S. (2002). The epidemiology of anxiety disorders: The epidemiologic catchment area (ECA) experience.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24(Suppl. 2), 3-14.

5. 학술대회, 심포지엄의 자료(proceedings)
[출간된 자료집]

Deci, E. L., & Robert, R. M. (1997). A motivational approach to self: Intergration in personality. In R. Dienstbier (Ed.),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Vol. 37. Perspectives on motivation (pp. 237-288). Lincol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이새롬. (2004). 국민체육진흥을 위한 생활체육지도자의 역할. 한국체육학회, 제24회 국민체육 진흥 세미나, 국민체육진흥을 위한 전문체육인의 역할(pp. 29-56). 서울: 한국체육학회.

[포스터 발표]

Ruby, J., & Fulton, C. (1993, June). Beyond redlining: Editing software that works.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Scholarly Publishing, Washington, DC.

[포스터]

Durwith, N. (2001, June). Indexing surveys: Software that works.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Political Science Society, Washington, DC.

6. 보고서(Technical and Research Reports)
[보고서(paper)]

홍은표. (2003). 국민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 서울: 한국문화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1990). Clinical training in serious mental illness (DHHS Publication No. ADM 90-1679). Washington, DC: U. S. Government Printing Office.

[보고서(onlin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0). Korea Leisure Activity Survey: participation rate of sport activity. Retrieved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3&tblId=DT_113_STBL_1022460&conn_path=I2

7. 시청각 자료(Audiovisual Media)
[TV 프로그램]

Miller, R. (Producer). (1989). The mind [Television series]. New York: WNET.

8. 전자문서(Electronic Media)
[전자 저널]

Fredrikson, B. L. (2000, March 7). Cultivating positive emotions to optimize health and well-being. Prevention & Treatment, 3, Article 0001a. Retrieved November 20, 2000, from http://journalsapa.org/prevention/volume3/ pre0030001a.html.

[웹사이트 자료]

Greater New Milford Area Healthy Community 2000, Task Force on Teen and Adolescent Issues. (n.d.) Who has time for a family meal? You do! Retrieved October 5, 2000, from http://www.familymealtime.org.

9. 참고문헌에서 허용되는 축약형 용어는 다음과 같다.
축약형 기본용어 축약형 기본용어
Chap. chapter p.(pp.) page(pages)
ed. edition vol. Volume
Rev. ed. revised edition vols. volumes
2nd ed. second edition No. Number
Ed.(Eds.) Editor(Editors) Pt. Part
Trans. Translator(s) Suppl. Supplement
n.d. no date - -
편집양식

기본적으로 대표글-신명조, 한글-휴먼명조, 영문-바탕

/ 서체(영문) 장평(%) 자간(%) 급수 행간 단수 내어쓰기 들여쓰기
본문 휴먼명조 90 -10 10p 150% 2 - 10pt
논문제목 휴먼명조 90 -10 18p 130% 1 - 왼쪽
부제목 휴먼명조 90 -10 12p 150% -
- 왼쪽
이름 휴먼명조 90 -10 11p 130% - - 왼쪽
소속 휴먼명조 90 -10 10p 130% - - 왼쪽
영문논문제목 휴먼명조 90 -10 15p 110% - - 왼쪽
영문부제목 휴먼명조 90 -10 12p 150% - - 왼쪽
영문이름 휴먼명조 90 -10 10p 150% - - 왼쪽
영문소속 휴먼명조 90 -10 10p 150% - - 왼쪽
요약 휴먼명조 90 -10 10p 150% - - 왼쪽
국문요약본문 휴먼명조 90 -10 10p 150% - - -
Abstract 휴먼명조 90 -10 10p 150% - - 왼쪽
영문요약본문 휴먼명조 90 -10 10p 150% - - -
영문요약본문 휴먼명조 90 -10 9p 150% - - -
Key words 휴먼명조 90 -10 8p 130% - - -
장 제목(서론) 휴먼명조 90 -10 14p(진하게) 150% - 2 가운데
1. 제목 휴먼명조 90 -10 10p(진하게) 150% 2 - -
1) 제목 휴먼명조 90 -10 10p(진하게) 150% 2 - -
표제목 휴먼명조 90 -10 9p 105% 1 or 2 - -
표내용 휴먼명조 90 -10 9p 105% 1 or 2 - -
그림제목 휴먼명조 90 -10 9p 105% 1 or 2 - -
그림내용 휴먼명조 90 -10 9p 105% 1 or 2 - -
참고문헌 휴먼명조 90 -10 14p(진하게) 150% 2 - 가운데
참고문헌내용 휴먼명조 90 -10 10p 150% 2 35p -

용지설정:사용자 정의 - 190×260, 여백주기 - 위쪽:20, 아래쪽:20, 오른쪽:20, 왼쪽:20머리말:15.0, 꼬리말:0

표, 그림은 캡션편집

제12조(심사료 및 게재료)
논문투고자는 논문 1편당 심사료 30,000원을 원고 제출 시 납부해야 한다. 심사 후 게재가 확정되면 10 페이지까지 200,000원의 게재료를 납부해야한다 (10페이지 이상인 원고는 초과된 1페이지에 10,000원). (사사를 포함하는 연구비 수혜 논문은 100,000원을 추가 납입한다.) 별쇄본을 희망하는 투고자는 원하는 부수만큼의 인쇄비를 납부해야 한다.  
제13조(논문 투고 마감일)
논문 투고는 매년 3월 31일, 6월 30일, 9월 30일, 12월 31일 자정에 마감한다. 본 학회지는 매년 4회(5월 말일, 8월 말일,11월 말, 2월 말일) 간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14조(기타 규정) 기타 세부지침은 다음과 같다.
기타 세부지침은 다음과 같다.

1. 약어를 사용할 경우 처음에는 완전 철자를 쓰고, 이어 괄호 안에 약어를 표기한 다음 사용한다. 단, 흔히 사용되는 약어는 설명 없이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2. 공식에 많은 기호가 사용되는 경우 본문 중에 별도의 기호 설명부를 포함시킬 수 있다.

3. 동일연구자가 한 호에 주저자(제 1, 교신), 공통저자 구분 없이 최대 2편의 논문 투고가 가능하며, 게재는 단독 1편과 공동연구 1편까지 가능하다(단독연구 2편 불가).

4. 본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은 본 학회의 승인 없이 무단 복제 할 수 없다.

제15조(규정 외 사항)
본 규정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사항은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부 칙

1. 이 규정의 개정은 이 학회 편집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이사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 이 규정은 이사회의 승인을 받은 날부터 효력을 발생한다.


2010년 03월 03일 부터 시행한다. 제정.

2016년 12월 05일 부터 시행한다. 개정.

2018년 03월 31일 부터 시행한다. 개정.

2021년 01월 09일 부터 시행한다. 개정.

2021년 07월 09일 부터 시행한다. 개정. 

2023년 03월 12일 부터 시행한다. 개정.